어깨 회전근개 파열증상의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google-site-verification=PUdavx8Y6BFDdDbpVvYPvAP52vTo4qxTO0QFqMmJvb4
본문 바로가기

건강재활 전공자 정보란

어깨 회전근개 파열증상의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오십견 (또는 동결견) 이란 어깨주위에 특별한 질환이 없는데도, 오십 대를 전후하여 어깨가 통증과 함께 굳어서 팔을

 

마음대로 들거나 움직일 수 없는 것을 말합니다.

회전근개

 

아픈 어깨쪽으로 누워 잠자기가 불편하게 되며, 대개는 쉬고 있을 때나 머리를 빗는 등 일상생활의 가벼운 운동에서도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회전근개는 어깨속에 깊숙이 위치한 4개의 힘줄 (극상건, 극하건, 견갑하건, 소원건)을 말합니다. 이 힘줄들은 팔뼈에 붙어있어서,

 

팔을 들고 움직이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회전근개 질환은 초기에는 건염과 활액낭염으로 시작하여 통증을 일으키고, 점차 진행되면 힘줄이 약해져서 실밥이 풀어지듯이

 

회전근개 파열이 발생합니다.회전근개가 파열되면 (끊어지면) 어깨가 아프고 팔을 들지 못하는 상태가 됩니다.

 

파열된회전근개

 

회전근개는 어깨를 움직이는 데 가장 중요한 4개의 힘줄. 이중 1개의 힘줄만 파열되어도, 어깨가 아프고 팔을 들지 못하게 된다.

 

어깨힘줄 (회전근개) 파열의 원인젊었을 때 건강한 힘줄은 큰 힘이 가해져야 끊어질 수 있지만, 나이가 들고 약해진 힘줄은

 

일상생활의 가벼운 힘에도 쉽게 끊어집니다.

 

즉, 다치거나 심한 운동을 한 후가 아니라도, 중년(40세) 이후는 퇴행성으로 서서히 파열이 진행되는 수가 많습니다.

 

회전근개 질환은 성인에 발생하는 만성 어깨관절 동통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입니다.

 

오십견으로 알고 상당기간을 치료해도 낮지 않고 병원에 오는 환자 중 많은 경우가 어깨 힘줄 파열로 진단됩니다.

 

어깨힘줄 (회전근개) 파열의 자가진단 - 인터넷 시대에는 30대의 질환 -회전근개에 건염 또는 파열이 생기면 어깨에서 소리가 나고,

 

팔을 어깨위로 아파서 들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데, 특히 야간에 통증이 심하게 됩니다.

 

 

 

회전근개의 파열이 있으면, 파열된 힘줄에 힘이 들어가는 특정한 운동 시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면

 

자가 진단이 가능합니다.

 

회전근개는 4개의 힘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3가지 검사을 모두 시행해 봅니다.

 

 

극상건 파열(가장흔함)
손으로 콜라캔을 잡고, 엄지손가락이 땅 쪽을 가리키도록 팔을 내회전 시킨 상태에서 팔을 어깨 위로 힘껏 들어 올릴 때 어깨의 통증이 심해지거나 들어 올릴 수 없게 됩니다 (A)

 

 

 

극하건 및 소원건 파열
팔을 몸뒤로 돌린 상태에서 팔을 뒤로 밀 때 어깨의 통증이 심해지거나, 뒤로 밀 수가 없습니다 (B)

 


견갑하건 파열

 

팔꿈치를 몸에 붙이고 팔을 외회전시 어깨의 통증이 심해지거나, 외회전을 시킬 수 없습니다 (C)

 

 

 

아십니까? 이와는 달리, 오십견은 굳은 팔을 앞으로, 옆으로, 위로 또는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 보아도 심한 통증과

 

운동 제한을 보입니다.

 

회전근개 파열이 있으면서 오십견이 같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문의사의 정확한 진찰이 필요합니다.

 

엑스선 검사로는 회전근개 파열이 만성화된 경우 나타나는 상완골의 골경화, 골낭종을 다공증을 볼 수도 있으나, 확진을 위해서는

 

초음파 또는 MRI 검사가 필요합니다.

 

 

회전근개 파열의 MRI 소견. 끊어진 힘줄의 위치를 정확히 볼 수 있습니다.

 

회전근개 파열의 자가운동요법 (보존적 치료) 회전근개 파열의 크기가 작은 경우, 대부분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느끼지 않는 정도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파열된 힘줄부위의 염증, 부종을 줄여 통증을 감소시키며, 남은 힘줄의 기능을 극대화하여 팔을 들어 올리는 힘을 회복합니다.

 

보존적 치료는 휴식, 진통소염제의 투여, 국소 스테로이드 또는 하이알 제제의 견봉하 주사, 온열 치료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시행합니다. 그리고, 자가운동치료를 반드시 시행해야 치료를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자가운동치료는 (1) 굳은 어깨 관절을 풀어주는 스트레칭 운동, (2) 어깨근육 강화운동의 2가지를 단계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데,

 

이 점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깨관절 질환은 질병의 원인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증상을 보이고 있어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회전근개 파열의 효과적 수술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회전근개 수술의 목적은 끊어진 힘줄을 원래의 뼈 부착부에 다시 연결시켜 주는 것입니다.

 

힘줄이 다시 뼈에 튼튼하게 연결되면, 예전과 같이 팔을 자유로이 올리고 쓸 수 있게 됩니다.

 

수술은 회전근개 파열의 상태와 크기(부분파열 또는 완전파열)에 따라 관절내시경 또는 관혈적 방법을 선택합니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흉터를 덜 남기고, 손상된 구조만을 정확히 초소형 비디오카메라로 보면서 수술하므로, 회복이 빠릅니다.

 

회전근개의 부분파열, 또는 작은 크기의 완전파열 때 시행됩니다.

 

관절내시경 봉합나사를 뼈에 삽입하고 힘줄을 봉합하며, 최근에는 흡수성 나사 (absorbable anchor)가 개발되어 사용할 수 있습

 

니다.

 

 

관혈적 수술관절경으로 회전근개가 파열된 상태와 크기를 확인한 후, 회전근개가 넓게 파열된 경우는 관혈적 수술을 시행합니다.

 

관절경을 사용하여 회전근개 파열에 흔히 동반되는 어깨 인대, 연골의 손상을 치료하고 관혈적으로 회전근개를 복원하면 이로써

 

어깨의 손상부위 전체를 완전히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회전근개가 정말파열되면 힘줄이 뼈에 붙어 있던 부위에 결손부위가 관찰됩니다.

 

봉합실로 재부 착하거나, 때로는 조그만 나사못을 이용합니다. 

 

회전근개 수술 후 회복회전근개 힘줄이 견고하게 연결되면, 수술후 즉시 수동적 운동 

 

(CPM기계 또는 건강한 다른 팔로 환측 어깨를 움직이는 것)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로서 수술 후의 관절유착 (관절이 굳는 것)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cpm기계

 

그러나, 최상의 상태로 잘 연결된 힘줄도 마음대로 팔을 들기에는 대단히 약하다는 사실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완전파열의 경우, 환자 자신의 힘으로 팔을 들거나 움직이려면, 연결된 힘줄이 완전히 뼈에 붙을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수술 후 4-6주). 근력강화 운동은 회전근개 파열의 크기와 힘줄의 상태에 따라 수술후 약 3 개월에 시작하게 됩니다.

 

그러나, 힘줄이 완전히 회복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며, 어깨힘줄에 가해지는 힘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무리한 힘을 주는

 

것은 통상 3-6개월간 (때로는 장기적으로 12개월까지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크기가 작은 파열, 또는 부분파열만이 있었던

 

경우는 수술 후 수일 내에 정상적인 팔 운동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수술 어깨 회전근개 재활 유의사항

 

1단계: 수술 직후 ~ 6주 (고정 초기 보호기)

 

목표: 회복된 힘줄 보호, 통증 염증 감소

 

유의사항

  • 어깨 보조기(어깨 슬링)의사의 지시대로 착용 (보통 4~6주)
  • 수술 부위 절대 사용 금지!
  • 팔로 드는 동작, 밀거나 당기는 행동 금지
  • 통증은 냉찜질로 조절 (하루 34회, 1520분)
  • 손목, 팔꿈치 운동은 허용 (혈액순환 유지 목적)
  • 팔을 돌리는 수동운동(PROM)물리치료사의 지도하에 수행
  • 자기 주도로 들기 금지

 

2단계: 6주 ~ 12주 (가동 범위 회복기)

 

목표: 관절 유연성 회복, 근육 구축 방지

 

유의사항

  • 보조기 제거 시작, 낮에는 벗고, 밤에는 착용할 수도 있음
  • 능동보조운동(AAROM) 시작: 막대기, 벽타기, 테이블 닦기 운동
  •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갑작스러운 동작 절대 금지
  • 무리한 스트레칭, 무게 있는 물건 들기 금지
  • 수영, 운전, 테니스, 골프 회전 동작은 아직 금지
  • 생활 사용은 조심스럽게, 반복 동작은 제한

 

3단계: 3개월 ~ 6개월 (근력 회복기)

목표: 기능적 근력 회복, 어깨 안정화

 

유의사항

  • 고무밴드(세라밴드)가벼운 덤벨 운동 시작 (전문가 지도 하에)
  • 어깨 위로 팔을 올리는 동작 점진적 허용
  •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운동 수행
  • 일상생활 복귀 가능하나, 무거운 짐을 드는 작업은 피함
  • 야구, 배드민턴, 수영, 테니스는 아직 제한 (충분한 근력 회복 필요)

 

4단계: 6개월 이후 (기능 회복 스포츠 복귀기)

목표: 스포츠 복귀, 일상/직업적 활동 완전 복귀

 

유의사항

  • 스포츠 활동 점진적으로 복귀 가능 (의사와 협의 후)
  • 무거운 물건 들기 가능하나, 통증 있을 경우 즉시 중단
  • 일상생활에서의 과도한 어깨 사용은 여전히 주의

 

공통 유의사항

  • 재활을 과하게 하거나 무리하면 재파열 위험 있음
  • 통증, 부기, 열감이 지속되면 반드시 병원 방문
  • 정기적인 병원 방문 물리치료사의 지도 필수
  • 흡연은 회복 지연의 주요 원인이므로 금연 권장
  •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기저질환 관리도 중요

우리 모두 자신의 어깨를 사랑하고 아끼고 보담아 주는 거수로 마무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제임에스 광고컨설팅 | 정민석 | 경남 양산시 동면 외송로60 | 사업자 등록번호 : 782-05-03104 | TEL : 010-4868-7997 | Mail : jung268282@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