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영양학(Sports Nutrition)**은 운동 수행과 회복, 그리고 신체 조성(body composition)을 최적화하기 위해
음식과 영양소 섭취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운동 생리학, 생화학, 식품과학 등의 다학제적 접근을 기반으로, 에너지 대사, 근육 단백질 합성, 지방산 산화, 수분 전해질 균형
등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전제로 한다.
국제 스포츠영양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Sports Nutrition, 2018)는 "적절한 영양 전략이 운동수행을 극대화하고, 부상 위험
을 감소시키며, 장기적으로 건강을 증진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고강도 훈련이나 경기 중에는 에너지 요구량이 급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식이요법만으로는 충분한 컨디션 유지를 기대하기 어렵다.
*탄수화물(carbohydrate)**은 고강도 운동 시 주요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근글리코겐 고갈은 피로를 초래한다.
따라서 운동 전후 탄수화물 섭취량 조절이 경기력에 직결된다(Jeukendrup, 2011). **단백질(protein)**은 근육 손상 회복과 근합성
(muscle protein synthesis, MPS)을 촉진하는 핵심 요소로, 운동 직후 20~40g 고품질 단백질 섭취가 권장된다(Phillips & Van Loon, 2011).
**지방(lipid)**은 장시간 지속적 운동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특히 지구력 스포츠 선수에게 최적 지방 섭취량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수분과 전해질 균형(hydration)은 운동 수행 유지에 필수적이다.
탈수는 2% 체중 손실만으로도 운동능력을 유의미하게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심혈관계 스트레스와 체온 조절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Sawka et al., 2007). 특히 더운 환경에서는 개별화된 수분-전해질 섭취 계획이 필수적이다.
최근 스포츠 영양학은 단순한 '영양 보충'을 넘어 과학적으로 관리가 필요성이 강조되고있다.
- 운동 시기별(periodized nutrition) 섭취 전략
- 개인 맞춤형 마이크로 뉴트리언트(micronutrient) 관리
-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및 보충제(supplementation) 과학적 활용등 고도화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스포츠 영양학은 단순한 식습관 지도가 아니라 **"최적의 생리학적 상태를 설계하는 과학적 전략"**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경기력뿐만 아니라 선수 생애주기 전반의 건강, 회복, 부상 예방을 위한 핵심적 기반을 제공한다.
주요 참고 논문
- International Society of Sports Nutrition position stand: nutrient timing (Kerksick et al., 2017)
- Carbohydrate intake during exercise and performance (Jeukendrup, 2011)
- Dietary protein for athletes: from requirements to metabolic advantage (Phillips & Van Loon, 2011)
- Exercise and fluid replacement (Sawka et al., 2007)
'건강재활 전공자 정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수 장애의 재활과 허리통증 사진] (0) | 2025.05.05 |
---|---|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 요추(허리) 협착증 기준 (2) | 2025.05.01 |
전공자들의 활성산소 과다에 따른 생체 반응과 부작용 설명 (3) | 2025.04.30 |
무릎 전방십자인대(ACL) 재건술 후 재활 프로그램 방법 (0) | 2025.04.29 |
우리 신체의 근육의 종류의 대해서 한번 알아보자! (0) | 2025.04.27 |